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우자 사망 시 상속 순위

by DDPLL 2025. 4. 22.
반응형

배우자가 사망하면 남겨진 재산은 법적으로 정해진 상속 순위에 따라 분배됩니다. 상속은 민법에 의해 규정되며, 배우자는 특별한 지위를 가지므로 상속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상속 순위

배우자 사망 시 상속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1. 1순위: 직계비속(자녀, 손자녀 등) + 배우자
    • 배우자는 자녀와 공동상속인이 됩니다.
    • 자녀가 여러 명일 경우, 배우자는 자녀들과 함께 재산을 나눕니다.
  2. 2순위: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 + 배우자
    • 자녀가 없는 경우, 배우자는 부모 또는 조부모와 공동상속인이 됩니다.
  3. 3순위: 형제자매 + 배우자
    • 자녀와 부모가 모두 없는 경우, 형제자매가 상속인이 되며 배우자와 공동상속합니다.
  4. 4순위: 4촌 이내의 방계혈족
    • 위의 모든 순위에 해당하는 상속인이 없을 때만 사촌 등 방계혈족이 상속인이 됩니다.

 

상속 > 상속 자격과 순위 > 상속인 알아보기 > 배우자상속인 및 대습상속인 (본문)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상속 > 상속 자격과 순위 > 상속인 알아보기 > 배우자상속인 및 대습상속인 (본문) | 찾기쉬운 생

공동상속인, 배우자상속인

www.easylaw.go.kr

 

2. 배우자의 상속 지분

배우자는 공동상속인일 경우 50% 가산된 상속 지분을 받습니다.

  • 배우자 + 자녀 1명: 배우자는 전체 재산의 3/5, 자녀는 2/5를 상속받습니다.
  • 배우자 + 자녀 2명: 배우자는 3/7, 각 자녀는 2/7씩 나눕니다.
  • 배우자 + 부모: 배우자는 3/5, 부모는 2/5를 상속받습니다.
  • 배우자 단독 상속: 다른 법정 상속인이 없을 경우 배우자가 전 재산을 상속받습니다.

 

3. 유류분 반환 청구권

만약 고인이 유언을 통해 특정인에게만 재산을 남겼다면, 배우자는 유류분 반환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 배우자와 직계비속: 법정 상속분의 1/2을 보장받습니다.
  • 직계존속과 형제자매: 법정 상속분의 1/3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4. 사실혼 배우자의 상속권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사실혼 배우자는 법적으로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다만, 특별연고자로서 가정법원에 재산 분여를 청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5. 상속 포기와 한정승인

배우자 사망 시 상속인이 되었지만, 상속받을 재산보다 빚이 많을 경우 상속 포기한정승인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상속 포기: 재산과 빚 모두를 포기하는 방식
  • 한정승인: 상속받은 재산의 한도 내에서만 빚을 갚는 방식

배우자 사망 후 상속 절차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고 적절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