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마트폰 게임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의존)

by DDPLL 2023. 10. 15.
반응형

1. 아이도 어른도 스마트폰을 멀리해야 한다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하여 경각심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시간을 잊고 몰두해 버려 할 일을 소홀히 하거나 잠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에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하거나 허전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는데 이런 상태를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의존증이라고 부릅니다. 어쩌면 나도 여기에 해당하진 않을까 생각한 적이 있을 겁니다. 원래 의존이란 특정 물질의 사용 같은 행위가 정신적, 신체적으로 스스로 통제할 수 없게 되는 상태를 말하며 스마트폰 의존은 의학적으로 인정된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사용이 길어질수록 나중에는 그만두고 싶어도 그만둘 수 없게 되어 정신과를 찾아가게 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2. 당신도 스마트폰 의존증??

그래도 본인이 스마트폰에 의존하고 있지 않을까 하고 의심을 해본다면 다행인데 나는 해당이 안 된다고 자신 있게 주장하는 사람 중에도 자신도 모르게 해당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다음과 사항에 해당하는 것이 많다면 당신도 스마트폰 의존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 SNS나 카톡 등이 오지 않으면 신경이 쓰이는지, 또는 자주 체크
 * 스마트폰이 손이 없으면 불안하거나 초조해지는 경우
 * 식사 중에도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
 * 목욕 중이나 화장실에 갈 때도 스마트폰을 가져가는 경우
 * 사람과 이야기할 때도 눈은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경우
 *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잠이 들어버린 경우
 * 일어나면 가장 먼저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경우
 * 걷는 중에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 외출 중에 스마트폰에 배터리가 없으면 불안감이 커지는 경우

3. 어깨가 자주 아프다면 스마트폰이 사용을 줄여라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사용하면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애 현상을 스마트폰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 시선이 아래쪽을 향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목뒤에서 어깨에 걸친 근육의 혈류가 나빠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어깨 결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하면 요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어깨 뿐만 아니라 허리, 목, 변비까지 유발할 수 있다

허리는 S자를 유지해야 하지만 스마트폰의 조작으로 인해 S자를 유지할 수 없어 허리에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허리뿐만 아니라 목뼈에도 부담을 주어 어깨 결림과 동시에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화면에 눈이 장시간 노출하게 되면 눈의 초점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 눈의 피로가 생기며 눈을 깜박거리는 횟수가 줄어들어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대, 30대에게서 노안 증세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등과 목이 점점 굽고 어깨가 전방 앞쪽으로 모이면서 우리가 흔히 상상하는 허리 굽은 노인처럼 신체가 변하게 되고 부정적인 신체 변화는 변비나 호흡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 아이들은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는 판단력이 없다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록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의 뇌가 스마트폰에 의한 지속적인 자극을 받기 때문에 사용 시간이 늘어날 수록 화면에서 나오는 빛이나 정보에 의해 뇌가 피폐하여 수면장애, 좌절감, 불안감 등이 일어나기 쉬워집니다. 중고등학생들은 물론 이제는 초등학생까지 스마트폰 소지율이 높아짐에 따라 아이들이 스마트폰에 의존해 버릴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스스로 의존의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는 판단력도 없습니다.

 

6. 스스로 규칙을 만들고 엄격하게 지켜라

스마트폰에 열중하면 그 외의 것들에 대해서 잊어버리는 경향을 보이며 그로 인해 학력 저하, 생활 리듬 파괴, 결석, 우울증 등에 빠지지 않도록 보호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사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규칙 등을 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잠을 자기 2시간 전에는 스마트폰을 보지 않기, 식사 중에는 스마트폰 보지 않기 등과 같은 규칙을 만드는 것입니다. 스스로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것을 줄일 수 없다면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해서라도 우리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